맨위로가기

사원수 켈러 다양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원수 켈러 다양체는 리만 기하학에서 특수한 홀로노미를 갖는 다양체의 한 종류이다. 이 다양체는 자동으로 아인슈타인 다양체이지만, 켈러 다양체는 아니다. 사원수 켈러 다양체는 리치 곡률의 부호에 따라 양수 또는 음수로 분류되며, 울프 공간과 4원수 사영 공간 등이 그 예시로 존재한다. 또한, 사원수 켈러 다양체와 관련된 문제는 트위스터 이론을 통해 복소 기하학으로 변환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만 다양체 - 준 리만 다양체
    준 리만 다양체는 매끄러운 다양체에 대칭적이고 비자명적인 성질을 갖는 매끄러운 (0,2)-텐서장인 계량 텐서가 갖추어진 다양체이며, 계량 텐서가 양의 정부호일 경우 리만 다양체가 되고, 특히 부호수가 (dim M-1,1)인 다양체는 로런츠 다양체라고 불린다.
  • 리만 다양체 - 아인슈타인 다양체
    아인슈타인 다양체는 리치 곡률이 계량 텐서에 상수배가 되는 준 리만 다양체로, 일반 상대성 이론, 양자 중력, 끈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며, 켈러-아인슈타인 다양체와 사사키-아인슈타인 다양체가 그 예시이다.
사원수 켈러 다양체

2. 역사

마르셀 베르제의 1955년 논문[1]은 리만 홀로노미 군의 분류에 관해 처음으로 홀로노미가 Sp(''n'')·Sp(1)인 비대칭 다양체의 존재 문제를 제기했다. 1960년대 중반 에드몽 보난[2]과 Kraines[3]의 선구적인 연구에서 그러한 다양체가 평행한 4-형식 \Omega을 갖는다는 것이 독립적으로 증명되었다. 1982년에는 오래 기다려온 강한 르셰츠 정리의 유사성이 발표되었다.[4]

:

\Omega^{n-k}\wedge\bigwedge^{2k}T^*M=\bigwedge^{4n-2k}T^*M.

베르제의 리만 홀로노미 분류에서 사원수-켈러 다양체는 특수 홀로노미를 갖는 기약 비대칭 다양체의 유일한 부류이며, 자동으로 아인슈타인이지만 리치 평탄은 아니다. Sp(n) Sp(1) 내에 홀로노미를 갖는 단일 연결 다양체의 아인슈타인 상수가 0인 경우(n\geq 2), 홀로노미는 실제로 Sp(n)에 포함되고 다양체는 하이퍼켈러가 된다. 이 경우는 사원수-켈러 다양체의 정의에서 제외되는데, 홀로노미 군이 Sp(n) Sp(1)에 포함될 뿐만 아니라 다양체가 0이 아닌 (상수) 스칼라 곡률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사원수-켈러 다양체는 리치 곡률이 양수인 것과 음수인 것으로 자연스럽게 나눌 수 있다.

2. 1. 초기 역사

마르셀 베르제의 1955년 논문[1]은 리만 홀로노미 군의 분류에 관해 처음으로 홀로노미가 Sp(''n'')·Sp(1)인 비대칭 다양체의 존재 문제를 제기했다. 에드몽 보난[2]과 Kraines[3]의 선구적인 연구에서 1960년대 중반에 흥미로운 결과가 증명되었는데, 이들은 그러한 다양체가 평행한 4-형식 \Omega을 갖는다는 것을 독립적으로 증명했다. 오래 기다려온 강한 르셰츠 정리의 유사성은 1982년에 발표되었다.[4]

:

\Omega^{n-k}\wedge\bigwedge^{2k}T^*M=\bigwedge^{4n-2k}T^*M.

베르제의 리만 홀로노미 분류의 맥락에서, 사원수-켈러 다양체는 특수 홀로노미를 갖는 기약 비대칭 다양체의 유일한 부류이며, 자동으로 아인슈타인이지만, 자동으로 리치 평탄은 아니다.

2. 2. 발전 과정

마르셀 베르제의 1955년 논문[1]은 리만 홀로노미 군의 분류에 관해 처음으로 홀로노미가 Sp(''n'')·Sp(1)인 비대칭 다양체의 존재 문제를 제기했다. 에드몽 보난[2]과 Kraines[3]의 선구적인 연구에서 1960년대 중반에 흥미로운 결과가 증명되었는데, 이들은 그러한 다양체가 평행한 4-형식 \Omega을 갖는다는 것을 독립적으로 증명했다. 오래 기다려온 강한 르셰츠 정리의 유사성은 1982년에 발표되었다.[4]:

:

\Omega^{n-k}\wedge\bigwedge^{2k}T^*M=\bigwedge^{4n-2k}T^*M.

베르제의 리만 홀로노미 분류의 맥락에서, 사원수-켈러 다양체는 특수 홀로노미를 갖는 기약 비대칭 다양체의 유일한 부류이며, 자동으로 아인슈타인이지만, 자동으로 리치 평탄은 아니다. Sp(n) Sp(1) 내에 홀로노미를 갖는 단일 연결 다양체의 아인슈타인 상수가 0인 경우(n\geq 2), 홀로노미는 실제로 Sp(n)에 포함되고 다양체는 하이퍼켈러이다. 이 경우는 사원수-켈러가 홀로노미 군이 Sp(n) Sp(1)에 포함될 뿐만 아니라 다양체가 0이 아닌 (상수) 스칼라 곡률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선언함으로써 정의에서 제외된다.

이러한 관례에 따라 사원수-켈러 다양체는 리치 곡률이 양수인 것과 음수인 것으로 자연스럽게 나눌 수 있다.

3. 성질

사원수 켈러 다양체는 켈러 다양체가 아니다. 켈러 다양체의 홀로노미는 U(2''n'')인데, Sp(''n'')Sp(1)은 U(2''n'')의 부분군이 아니기 때문이다. 즉, 사원수 켈러 다양체는 자연스러운 복소 구조를 지니지 않는다.

모든 사원수 켈러 다양체는 아인슈타인 다양체다. 즉, 그 리치 곡률 텐서가 계량 텐서에 비례한다.

조지프 A. 울프는 대칭 4원수-켈러 다양체를 분류하였으며,[5] 이를 울프 공간이라고 한다. 임의의 단순 리 군 ''G''에 대해, K = K_0 \cdot \operatorname{SU}(2)의 부분군으로 ''G''를 나눈 몫으로 얻어지는 고유한 울프 공간 ''G''/''K''가 존재한다. 여기서 SU(2)는 ''G''의 최고근과 관련된 부분군이고, ''K''0는 ''G''에서 그 중앙화 부분군이다. 양의 리치 곡률을 갖는 울프 공간은 콤팩트하고 단일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G= Sp(n+1)인 경우, 해당 울프 공간은 \mathbb{H}^{n+1}에서 원점을 지나는 (오른쪽) 4원수 직선의 4원수 사영 공간 \mathbb{HP}_n이다.

양의 스칼라 곡률을 갖는 모든 완전 4원수-켈러 다양체는 대칭이라는 추측이 있다. 그러나, Galicki-Lawson[6]과 LeBrun[7]의 구성은 음의 스칼라 곡률을 갖는 완전하고 국소 비대칭 4원수-켈러 다양체가 많이 존재함을 보여준다. Galicki-Lawson 구성은 또한 양의 아인슈타인 상수를 갖는 매우 많은 수의 콤팩트 국소 비대칭 오비폴드 예제를 생성하며, 이 중 많은 예제가 차원 4n+3의 콤팩트하고 비특이적인 3-사사키안 아인슈타인 다양체를 생성한다.[8]

살라몬(Salamon)[9]과 베라드-베르제리(Bérard-Bergery)[10]트위스터 이론을 이용하여, 사원수 켈러 다양체 ''M''에 대하여, j^2=-1을 만족하는 모든 j\in H로 구성된 S^2-다발 Z\to M을 정의했을 때, Z가 복소다양체임을 보였다.

''M''의 리치 곡률이 양수일 때, ''Z''는 파노 다양체이며, 특히 매끄러운 사영 대수적 복소다양체이다. 또한 켈러-아인슈타인 메트릭을 허용하며, 더 중요한 것은 ''H''에 대한 리만 연결의 수평 공간에 해당하는 정칙 접촉 구조를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르브룬(LeBrun)과 살라몬(Salamon)[11]은 주어진 차원에서 등거리 변환 및 재조정을 제외하고는 양의 스칼라 곡률을 갖는 콤팩트 사원수 켈러 다양체가 유한하게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4. 예시

컴팩트 4원수-켈러 다양체 중 국소 대칭이 아닌 예시는 알려진 것이 없다. (초켈러 다양체는 논의에서 제외된다.) 반면에 조지프 A. 울프에 의해 처음 분류된 대칭 4원수-켈러 다양체는 많이 존재하며, 울프 공간으로 알려져 있다.[5]

LeBrun과 Salamon은 양의 스칼라 곡률을 갖는 모든 완전 4원수-켈러 다양체는 대칭이라는 추측을 제기했다. 그러나 Galicki-Lawson[6]과 LeBrun[7]의 구성은 음의 스칼라 곡률을 갖는 완전하고 국소 비대칭 4원수-켈러 다양체가 많이 존재함을 보여준다. Galicki-Lawson 구성은 또한 양의 아인슈타인 상수를 갖는 매우 많은 수의 컴팩트 국소 비대칭 오비폴드 예제를 생성하며, 이 중 많은 예제가 차원 4n+3의 컴팩트하고 비특이적인 3-사사키안 아인슈타인 다양체를 생성한다.[8]

4. 1. 울프 공간

조지프 A. 울프에 의해 처음 분류된 대칭 4원수-켈러 다양체는 울프 공간으로 알려져 있다.[5] 임의의 단순 리 군 ''G''에 대해, K = K_0 \cdot \operatorname{SU}(2)의 부분군으로 ''G''를 나눈 몫으로 얻어지는 고유한 울프 공간 ''G''/''K''가 존재한다. 여기서 SU(2)는 ''G''의 최고근과 관련된 부분군이고, ''K''0는 ''G''에서 그 중앙화 부분군이다. 양의 리치 곡률을 갖는 울프 공간은 컴팩트하고 단일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G = Sp(n+1)인 경우, 해당 울프 공간은 \mathbb{H}^{n+1}에서 원점을 지나는 (오른쪽) 4원수 직선의 '''4원수 사영 공간''' \mathbb{HP}_n이다.

4. 2. 4원수 사영 공간

G= Sp(n+1)인 경우, 해당 울프 공간은 \mathbb{H}^{n+1}에서 원점을 지나는 (오른쪽) 4원수 직선의 '''4원수 사영 공간''' \mathbb{HP}_n이다.[5]

4. 3. 기타

조지프 A. 울프에 의해 처음 분류된 대칭 4원수-켈러 다양체는 울프 공간으로 알려져 있다.[5] 임의의 단순 리 군 ''G''에 대해, K = K_0 \cdot \operatorname{SU}(2)의 부분군으로 ''G''를 나눈 몫으로 얻어지는 고유한 울프 공간 ''G''/''K''가 존재한다. 여기서 SU(2)는 ''G''의 최고근과 관련된 부분군이고, ''K''0는 ''G''에서 그 중앙화 부분군이다. 양의 리치 곡률을 갖는 울프 공간은 컴팩트하고 단일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G= Sp(n+1)인 경우, 해당 울프 공간은 \mathbb{H}^{n+1}에서 원점을 지나는 (오른쪽) 4원수 직선의 4원수 사영 공간 \mathbb{HP}_n이다.

LeBrun과 Salamon에 귀속되는 추측은 양의 스칼라 곡률을 갖는 모든 완전 4원수-켈러 다양체는 대칭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Galicki-Lawson[6]과 LeBrun[7]의 구성은 음의 스칼라 곡률을 갖는 완전하고 국소 비대칭 4원수-켈러 다양체가 많이 존재함을 보여준다. Galicki-Lawson 구성은 또한 양의 아인슈타인 상수를 갖는 매우 많은 수의 컴팩트 국소 비대칭 오비폴드 예제를 생성하며, 이 중 많은 예제가 차원 4n+3의 컴팩트하고 비특이적인 3-사사키안 아인슈타인 다양체를 생성한다.[8]

5. 트위스터 공간

사원수 켈러 다양체에 관한 문제는 트위스터 이론을 사용하여 복소 기하학의 언어로 번역될 수 있다. 이 사실은 살라몬(Salamon)과 베라드-베르제리(Bérard-Bergery)가 독립적으로 발견한 정리에 요약되어 있으며, 펜로즈(Penrose)의 초기 연구에서 영감을 받았다. M을 사원수 켈러 다양체라고 하고, H\mathfrak{sp}(1) \subset \mathfrak{sp}(n)\oplus \mathfrak{sp}(1)의 홀로노미 작용에서 발생하는 End(TM)의 부분 다발이라고 하자. 그러면 Hj^2=-1을 만족하는 모든 j\in H로 구성된 S^2-다발 Z\to M을 포함한다. 따라서 Z의 점들은 M의 접선 공간에 대한 복소 구조를 나타낸다. 이를 사용하여 전체 공간 Z에는 자명한 거의 복소 구조가 부여될 수 있다.

살라몬(Salamon)[9]과 베라드-베르제리(Bérard-Bergery)[10]는 독립적으로 이 거의 복소 구조가 적분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하여 Z를 복소다양체로 만들었다.

5. 1. 파노 다양체

''M''의 리치 곡률이 양수일 때, ''Z''는 파노 다양체이며, 특히 매끄러운 사영 대수적 복소다양체이다. 또한 켈러-아인슈타인 메트릭을 허용하며, 더 중요한 것은 ''H''에 대한 리만 연결의 수평 공간에 해당하는 정칙 접촉 구조를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11]

5. 2. 르브룬의 결과

파노 다양체인 ''Z''는 켈러-아인슈타인 메트릭과 정칙 접촉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르브룬(LeBrun)과 살라몬(Salamon)이 주어진 차원에서 등거리 변환 및 재조정을 제외하고는 양의 스칼라 곡률을 갖는 콤팩트 사원수 켈러 다양체가 유한하게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데 사용되었다.[11] 이들은 같은 논문에서 이 다양체들의 두 번째 호몰로지가 비자명한 2-꼬임이 있는 유한군이 아니면 대칭 공간임을 보였다. 관련 기법은 푼(Poon)과 살라몬(Salamon)이 8차원에는 대칭적이지 않은 예가 없다는 것을 보이는 데에도 사용되었다.[12]

반대로, 르브룬(LeBrun)은 켈러-아인슈타인 메트릭과 정칙 접촉 구조를 모두 허용하는 모든 파노 다양체가 양의 스칼라 곡률을 갖는 사원수 켈러 다양체의 트위스터 공간이며, 등거리 변환 및 재조정을 제외하고 고유하다는 것을 보였다.[13]

참조

[1] 논문 Sur les groups d'holonomie des variétés à connexion affine et des variétés riemanniennes http://www.numdam.or[...]
[2] 논문 Structure presque quaternale sur une variété differentiable
[3] 논문 Topology of quaternionic manifolds https://www.ams.org/[...]
[4] 논문 Sur l'algèbre extérieure d'une variété presque hermitienne quaternionique
[5] 논문 Complex homogeneous contact manifolds and quaternionic symmetric spaces
[6] 논문 Quaternionic reduction and quaternionic orbifolds http://www.galicki.c[...]
[7] 논문 On complete quaternionic-Kähler manifolds https://www.math.sto[...]
[8] 서적 Sasakian Geomet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9] 논문 Quaternionic Kähler manifolds
[10] 문서 Besse 1987
[11] 논문 Strong rigidity of positive quaternion-Kähler manifolds
[12] 논문 Quaternionic Kähler 8-manifolds with positive scalar curvature
[13] 논문 Fano manifolds, contact structures, and quaternionic geomet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